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제테크의여왕

2025년도 자동차세 연납 본문

카테고리 없음

2025년도 자동차세 연납

제테크의여왕 2024. 11. 25. 13:48

안녕하세요!

제테크의여왕 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자동차세 연납에 관련된 정보입니다!

 

 

 

자동차세랑 지방세의 일종이며 원래는 후불제 세금입니다. 

해당 세금은 1년에 상반기 / 하반기로 구분하여 기간 동안 차량을 운행했을 경우 6월과 12월에 세금을 납부하게 되죠

당연한 이야기지만 세금이란 사용한 만큼의 세금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보통 후불제로 이루어집니다. 

 

그런데도 굳이 선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선납으로 납부하는 이유는 세금을 할인을 받기 위함입니다. .

세금을 할인해 준다니 무슨 말일까요?

자동차세는 연납이라는 제도를 통해 미리 세금을 받아 세금을 운영하려는 방식으로 구성이 되어있어 

선납을 할 경우 할인을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이 되죠

얼마나 할인해 주는지 신청하는방법 한번 살펴볼까요?

 

 

신청방법

 

신청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인터넷, ARS, 방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위택스를 이용한 신청
가장 편리한 방법은 위택스( https://www.wetax.go.kr/main.do ) 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한 후,
'자동차세 연납 신청' 메뉴에서 차량 정보와 납부 방법을 선택하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ARS를 이용한 신청
인터넷 사용이 어렵다면 ARS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RS 전화번호 1566-3900으로 전화하여 안내에 따라 차량 정보와 납부 방법을 입력하면 됩니다.

 

3. 가까운 시/군/구청 세무 부서를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방문 신청 시에는 차량등록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납부방법은?

 

자동차세 연납은 카드, 계좌이체, 가상계좌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나 ARS를 통해 신청할 때 납부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자동차세 연납

 

기본적으로 연납은 일정 기간 동안 할인을 해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매년 1월, 3월, 6월, 9월에 세금을 연납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기마다 적용한 이유는 세금의 할인 적용률이 다르기 때문이죠

 

​그럼 어떻게 달라지는지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1) 1월 연납 신청​신청

 

 기간 : 1월 16일 이후

할인율: 4.6%

공제율 : 10%

2025년 이후 2.7%로 할인율 하락 예정

산출식 : 면세액 X334/365X 이자율

 

​​2) 3월 연납 신청​​신청

 

기간 : 3월 16일 이후

할인율: 3.8%

공제율 : 7.5%2025년 이후 2.3%로 할인율 하락 예정

산출식 : 면세액 X275/365X 이자율​​

 

3) 6월 연납 신청​신청

 

기간 : 6월 16일 이후

할인율: 1.5%

공제율 : 5%

2025년 이후 1.5%로 할인율 하락 예정

산출식 : 면세액 X184/365X 이자율

 

​4) 9월 연납 신청​

신청 기간 : 9월 16일 이후

할인율: 1.3%

공제율 : 2.5%

2025년 이후 0.8%로 할인율 하락 예정

산출식 : 2분기 세액 X p2/184X 이자율​

 

보시다시피 연간 할인율이 분기별로 적용이 되고 공제율 역시 분기별에 따라 다르게 적용이 됩니다.

산출식을 적용하여 미리 계산해 보시면 할인금액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자동차세 기준


자동차세는 기준이 어떻게 될까요?​

 

기본적으로 자동차세는 배기량에 따라 세금이 부과가 되며 3년 이상 사용할 경우 연단위로 5%씩 감면이 됩니다. 

다만 여기에는 자동차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세금의 30%가 지방교육세로 포함이 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승용차의 경우에는 영업용과 비용용에 따라 다르며 비영 용인 차량은 CC 당 80원에서 200원으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화물차의 경우에는 1톤당 세금이 부과가 되는데 이 역시 영업용은 6,600원에서 시작하여 45,000원이 되고

비영업용은 1,000KG당 28,500원에서 적용되어 157,000원까지 적용되고 이후 1톤당 3만 원씩 추가 세금이 발생합니다.

 

 

 

자동차세 연납을 하게 된다면 할인을 받을수있다는 큰장점이 있지만

한번에 목돈이 나가게 되는 단점도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시고 필요한 방법으로 하시면 될거같습니다.